상관관계 분석 까지 끝났으면 이제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들어갈 것이다.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을 작성하게 되면 확인적 요인분석을 반드시 진행해야한다.
◎ 확인적 요인분석 절차
작업창 크기 조정 → 측정모형 그리기 → 변수명 넣기 → SPSS 파일 불러오기 → 분석옵션 설정하기 → 저장 및 분석하기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이란 이론적으로 근거가 있는 척도(검증된 척도)를 자신의 연구에서 사용할 때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석으로 측정모형에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요인분석은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분석이다. 즉,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측정 도구(문항)가 정확하게 측정하고 설명하는지에 대해 확인하는 작업이다.
요인분석은 크게 ① 탐색적 요인분석과 ②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구분된다.
구분
|
탐색적 요인분석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
확인적 요인분석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
개념
|
척도를 개발할 때 사용함(탐색적)
|
이미 검증된 척도를 확인할 때 사용함(확인적)
|
활용 영역
|
SPSS
|
AMOS
|
이론과의
관계 |
이론을 만들 때 사용함
|
이론을 확인할 때 사용함
|
요인 개수
|
분석 완료 시 요인 개수 확인함
|
분석 전부터 요인 개수 알고 진행함
|
이미 많은 연구자들이 사용한 검증된 척도의 경우에는 확인적 요인분석만 살펴보아도 됨.
참고문헌
히든 그레이스 논문통계팀(2018). 한번에 통과하는 논문: AMOS 구조방정식 활용과 SPSS 고급분석. 한빛아카데미.
[구조방정식(SEM)] 구조방정식의 통계분석 절차
대체적으로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논문의 분석 절차는 다음과 같다. < 순서 > 신뢰도 분석 → 빈도 분...
blog.naver.com
[구조방정식(SEM)] 구조방정식의 주요 용어
구조방정식에서 흔히 활용하게 되는 용어에 대해 전반적으로 정리함. 구조방정식에서 사용하는 주요 용어 ...
blog.naver.com
[구조방정식(SEM)] 경로분석 :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 구하는 방법 (0) | 2023.04.09 |
---|---|
[통계용어/논문] 통계 약자와 기호 알아보기 (0) | 2023.04.02 |
[구조방정식(SEM)] 구조방정식의 통계분석 절차 (0) | 2023.03.17 |
[구조방정식(SEM)] 구조방정식의 주요 용어 (0) | 2023.03.16 |
[연구방법론] 연역법과 귀납법의 특징 (0) | 2023.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