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상담심리학] 이야기 치료(narrative therapy)

심리학/상담심리학

by 쿠루미세상 2022. 7. 20. 15:56

본문

728x90
반응형

 

구성주의 심리치료 안에는

해결중심 심리치료와 이야기 심리치료가 있다.

오늘은 그 중 이야기 심리치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야기치료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문제를 포함하고 있는 내담자의 이야기에

주목하고, 내담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돕는 심리치료이다.

 

사회구성주의자 중 마이클 화이트와 데이비드 엡스턴(1990)은

이야기 치료 활용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두 사람의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과 정신연구소에

연관된 이론가들의 영향을 받아왔다.

 

또한 내담자가 자신을 둘러싼 세상과 자신에게 일어난 사건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

 

< 목차 >

1. 인간관

2. 주요 개념

3. 상담 목표와 과정

4. 상담의 기법

5. 평가


@pixabay

1. 인간관

  • 사람은 해석적인 이야기로 삶의 의미를 구성하고 그것을 '진실'이라고 생각한다.
  • 사람은 창의적이고 상상력 넘치는 생각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 사람은 자신의 삶의 기회와는 상반되는 지배적 담론을 내면화하는 경향이 있다.
  • 사람이 문제가 아니라 문제가 문제이다.

2. 주요 개념

■ 배경, 등장인물의 성격 묘사, 줄거리, 주제

 

1) 배경

  • 이야기가 일어난 장소와 시간이 이야기의 배경이 된다.
  • 예시: 실내, 애외, 실제 경험, 상상, 꿈 등
  • 자세히 묘사, 굵게 묘사, 순간적 상황 혹은 오랜 시간에 걸친 이야기 등을 통해 등장인물 행동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2) 등장인물의 성격 묘사

  • 사람(또는 배우)
  • 대부분 내담자가 이야기의 주인공 혹은 중심인물인 경우가 많음
  • 게슈탈트의 빈 의자, 빈 의자 접근과 같은 기법을 활용하기도 함

 

3) 줄거리

  •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해 알려주는 것이다.
  • 심리치료자는 내담자가 일관적이고 논리적으로 여러 삽화를 구성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 하기도 한다.

 

4) 주제

  • 이야기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 일어나는 이유에 해당되는 것이 주제가 된다.
  • 의미, 감정적 경험,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등 내담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심리치료사는 초점을 두어야한다.
  • 내담자를 진단하거나 분류 X

3. 상담 목표와 과정

1) 상담 목표

  • 내담자가 자신의 이야기의 등장인물과 줄거리로 의미를 찾고, 자신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재구성).
 
< 상담자의 기능과 역할 >
  • 적극적인 촉진자
  • 상담관계: 돌봄, 관심, 정중한 호기심, 개방성, 공감, 접촉, 매력 등
  • 알지 못하는 자세
  • 내담자로 하여금 선호하는 이야기를 구성하도록 돕기
  • 내담자에게 질문, 답변에 기초해서 질문을 더 하기

 

2) 상담과정

① 내담자와 문제를 무엇으로 부를지 서로 합의한다(협력).

② 문제를 의인화 → 억압적인 의도와 특성 부여한다.

③ 어떤 부분이 내담자를 방해, 지배하며 좌절시키는지 그 문제를 탐색한다.

④ 대안적 의미 질문, 내담자가 스스로 다른 관점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보게한다.

⑤ 예외적인 문제를 탐색 후 내담자가 그 문제에 지배 혹은 패배당하지 않았던 순간을 발견한다.

⑥ 내담자가 문제의 지배, 억압에 저항, 견디기, ㅠㅣ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가졌다는 새로운 관점을 지지하는 과거의 증거를 찾는다(내담자의 정체성, 생활 이야기가 새롭게 서술)

⑦ 강하고 유능한 사람에게 어떤 미래를 기대할 수 있을지 내담자에게 생각해보도록 한다.

⑧ 새로운 이야기를 이해하고 지지해줄 청중을 찾거나 만든다.


4. 상담의 기법

■ 문제의 외현화, 독특한 탈출구, 대안적 이야기, 긍정적 이야기, 미래 질문, 지지하기

@pixabay

1) 문제의 외현화

  • 문제 자체와 맞서기(사람이 문제가 아닌, 문제가 문제이다)
  • 문제의 외재화는 이야기의 힘을 해체하는 과정(사람-문제 분리)
  • 심리치료자는 기존의 문제나 이야기를 보다 나은 이야기로 재구성하고 재저술(re-author)한다.
  • 문제의 외현화(externalizing)는 이야기의 힘을 해체하는 과정(사람-문제 분리)
  • 예시: 나는 알코올 의존증 '환자'이다. → 나는 알코올 중독 '문제'가 있다.
  • 질문 예시: 알코올 문제가 언제 처음 당신의 삶에 나타났나요?

 

2) 독특한 탈출구

  • 개방형 질문을 통해 이야기 속 예외상황(문제가 나아졌던 순간) 찾기
  • 이 질문은 반짝이는 순간, 독특한 탈출구(uniqueoutcomes)로 나타나는 예외 상황 탐색에 도움된다.
  • 예외상황에서는 문제 상황에 보이는 것과 다른 종류의 생각, 감정, 행동 포함
  • 이 과정을 통해 새로운 이야기가 시작될 수 있다.
  • 질문 예시: 알코올이 당신을 사로잡고 싶어 했는데 당신이 저항했던 때가 있었나요?

 

3) 대안적 이야기

  • 대안적 이야기(alternative narratives)의 초점은 내담자-내담자 가족의 강점, 특별한 능력, 목표, 소원 등이 된다.
  • 문제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발달시키기, 강점찾기
  • 질문 예시: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았던 때를 생각해 볼 수 있을까요?

 

4) 긍정적 이야기

  • 문제의 이야기 뿐만 아닌 잘하고 있는 부분에도 관심 가지기
  • 긍정적인 이야기를 통해 내담자는 힘이 북돋아진다는 느낌(sense of empowerment)을 경험

 

5) 미래에 대해 질문하기

  • 내담자 자신의 미래와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긍정적인 새로운 이야기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도움
  • 질문 예시: 만약 문제가 다음주에도 지속된다면 이것이 당신에게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6) 내담자의 이야기 지지하기

  • 치료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자원을 사용한다.
  • 편지, 웹페이지, 수료증 , 지지모임, 내담자의 지인 등
  • 특히, 편지나 쪽지는 각 회기를 요약하거나 문제를 외현하하는 데 도움이 된다.

5. 평가

공헌점
한계점
  • 다양한 내담자에게 유용함(다문화적 관점)
(성, 인종, 민족, 장애, 성적 취향, 사회적 계급, 영성 등)
  • 스트레스 감소 시키는데 도움됨
(자폐증, 트라우마)
  • 어린 아동에게 매우 효과적
  • 효과성 검증의 여러움
(개인마다 가족들의 이야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

 

 

참고문헌

천성문, 김진숙, 김창대, 신성만, 유형근, 이도우기, 이동훈, 이영순, 한기백 (2019).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개념 및 사례(6판). 서울: 센게이지징러닝코리아.천성문, 권선중, 김인규, 김장회, 김창대, 신성만, 이동훈, 허재홍 (2017).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10판).  서울: 센게이징러닝코리아.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