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심리치료 안에는
해결중심 심리치료와 이야기 심리치료가 있다.
오늘은 그 중 이야기 심리치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야기치료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문제를 포함하고 있는 내담자의 이야기에
주목하고, 내담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돕는 심리치료이다.
사회구성주의자 중 마이클 화이트와 데이비드 엡스턴(1990)은
이야기 치료 활용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두 사람의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과 정신연구소에
연관된 이론가들의 영향을 받아왔다.
또한 내담자가 자신을 둘러싼 세상과 자신에게 일어난 사건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
< 목차 >
1. 인간관
2. 주요 개념
3. 상담 목표와 과정
4. 상담의 기법
5. 평가
■ 배경, 등장인물의 성격 묘사, 줄거리, 주제
1) 배경
2) 등장인물의 성격 묘사
3) 줄거리
4) 주제
1) 상담 목표
< 상담자의 기능과 역할 >
|
2) 상담과정
① 내담자와 문제를 무엇으로 부를지 서로 합의한다(협력).
② 문제를 의인화 → 억압적인 의도와 특성 부여한다.
③ 어떤 부분이 내담자를 방해, 지배하며 좌절시키는지 그 문제를 탐색한다.
④ 대안적 의미 질문, 내담자가 스스로 다른 관점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보게한다.
⑤ 예외적인 문제를 탐색 후 내담자가 그 문제에 지배 혹은 패배당하지 않았던 순간을 발견한다.
⑥ 내담자가 문제의 지배, 억압에 저항, 견디기, ㅠㅣ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가졌다는 새로운 관점을 지지하는 과거의 증거를 찾는다(내담자의 정체성, 생활 이야기가 새롭게 서술)
⑦ 강하고 유능한 사람에게 어떤 미래를 기대할 수 있을지 내담자에게 생각해보도록 한다.
⑧ 새로운 이야기를 이해하고 지지해줄 청중을 찾거나 만든다.
■ 문제의 외현화, 독특한 탈출구, 대안적 이야기, 긍정적 이야기, 미래 질문, 지지하기
1) 문제의 외현화
2) 독특한 탈출구
3) 대안적 이야기
4) 긍정적 이야기
5) 미래에 대해 질문하기
6) 내담자의 이야기 지지하기
공헌점
|
한계점
|
|
|
참고문헌
천성문, 김진숙, 김창대, 신성만, 유형근, 이도우기, 이동훈, 이영순, 한기백 (2019).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개념 및 사례(6판). 서울: 센게이지징러닝코리아.천성문, 권선중, 김인규, 김장회, 김창대, 신성만, 이동훈, 허재홍 (2017).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10판). 서울: 센게이징러닝코리아.
게슈탈트 기도문 (The Gestalt Prayer) (0) | 2023.04.04 |
---|---|
[상담심리학] 벡(Beck)의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 Therapy: CBT) (0) | 2023.03.30 |
[상담심리학] 실존주의 상담(Existential Counseling Therapy)이란? (0) | 2022.07.11 |
상담자의 태도와 역할 (0) | 2022.07.08 |
상담자의 인간적 자질과 전문적 자질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