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지구과학] 우리가 일상에서 보는 구름에도 종류가 있다?

본문

728x90
반응형

구름은 모양을 말하는 것이 아닌, 구름의 운형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말하는 운형(雲形)이란?

 

구름 '운(雲)' + 모양 '형(形)'

 

즉, 구름이 생긴 모양을 일컫는다.

 

 

오늘은 이러한 운형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 목차 >

1. 구름이란?

2. 구름의 종류

3. 권층운과 고층운의 비교


1. 구름이란?

  • 영어: Cloud
  • 한자: 구름 '운(雲)'
  • 한국어: 구름

"공기 중의 수분이 엉기어서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의 덩어리가 되어 공중에 떠 있는 것"

- 표준국어대사전 -

 

2. 구름의 종류

 

1803년 영국의 약제사이자 기장학자인 루크 하워드(Luke Howard)가 구름 분류체계를 개발하고 현재 그의 분류 기준으로 구름을 구분한다. 구름이 떠 있는 높이에 따라 총 10가지, 4그룹으로 나뉜다.

1. 층상운
2. 대류온
1) 상층운
2) 중층운
3) 하층운
1) 수직온
① 권적운 (Cc)
② 권운 (Ci)
③ 권층운 (Cs)
① 고층운 (As)
② 고적운 (Ac)
① 층운 (St)
② 층적운 (Sc)
③ 난층운 (Ns)
① 적란운 (Cb)
② 적운 (Cu)

 


◎ 상층운

① 권운 (Cirrus, Ci)

높고 푸른 맑은 하늘에서 볼 수 있는 새털 같은 구름이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새털구름'이라고 부르고, 한국어로는 권(卷) '(둥글게) 말다'라는 의미가 있다. 거의 대부분 빙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빙정: 얼음 알갱이

 

특징 : 해발 6km이상, 맑은 날 단독으로 형성, 갈고리처럼 말려 있는 점

어원 : cirro- (곱슬곱슬한 털)


② 권층운 (Cirrostratus, Cs)

 

높은 하늘에서 흰색 또는 옅은 회색의 빛으로 얇게 덮이는 베일 같은 구름이다.

주로 빙정으로 구성되어 있어 복슬한 털 느낌이 난다. 즉, 높은 하늘에 끼는 안개(층운)이다.

특징 : 6,000m ~(20,000ft ~ ), 고도가 높고 온도가 낮음, 비 내릴 가능성 낮음

순우리말 : 햇무리(halo)구름

 

③ 권적운 (Cirrocumulus, Cc)

높은 하늘에서 희고 작은 비늘 같은 모습의 구름이다. 대부분 빙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과냉각된 물방울이다. 강수를 가지고 있지 않으나, 강수가 곧 있을 것이라는 징조로 볼 수 있다.

 

특징 : 5~12km (16,000~39,000ft), 강수량 생성 가능성 있음

어원 : cirro- (곱슬곱슬한 털) + cumulus (쌓여 있다)

순우리말 : 털쌘구름, 조개구름


 

◎ 중층운

① 고층운 (Altostratus, As)

대부분 과냉각물방울이나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얇은 구름은 물방울만 이루어져 있는 경우도 있다. 얼룩이 없는 고른 형태일 때도 있고 줄기가 있는 섬유나 털 모양을 나타내기도 한다.

특징 : 2~7km (7,900ft ~ 20,000ft), 안개비, 약한 비 또는 눈

어원 : Alto- (높다) + stratus (층 형태)

순우리말 : 높층구름, 차일구름


② 고적운 (Altocumuls, Ac)

 

대부분 작은 물방울로 구성되어 있고, 기온이 매우 낮을 때에는 일부 빙정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색깔은 흰색이나 회색이며 그림자가 나타나서 입체감이 있다.

바람이 강하게 불 땐 흔히 산 너머 렌즈 모양의 고적운[렌즈구름(Lenticular colud)]이 생긴다. 렌즈구름은 고적운의 유명한 변종으로 종종 UFO로 오인받기도 한다.

 

특징 : 2~7km (6,500ft~20,000ft), 뭉게뭉게한 모양

순우리말 : 높쌘구름, 양떼구름


 

◎ 하층운

① 층운 (Stratus, St)

층운은 층구름 또는 안개와 비슷하여 안개구름이라고도 부른다.

층운은 작은 물방울의 집합체이다. 안개가 공중으로 떠오른 것 같은 낮은 구름의 여러 조각으로 나누니 구름으로 구름 사이에 푸른 하늘이 보일 때도 있다. 오랫동안 남아 있는 경우는 드물고 조각조각 흩어져 사라지므로 맑은 날씨를 이룰 때가 많다. 산꼭대기나 비행기와 같이 높은 곳에서 바라보면 마치 파도치는 바다와 같은 장관을 연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분으로 '운해(雲海)'라는 표현이 붙기도 한다.

 

특징 : 0~2km (0ft~6,000ft), 안개구름, 보통 이슬비 내림

순우리말 : 층구름, 안개구름

 

② 난층운 (Nimbostratus, Ns)

웅대적운과 적란운처럼 소나기를 내리는 구름과 구별되는 것으로 흔히 비구름이라고 본다. 외견상 하늘 가득 채운 짙은 회색빛 먹구름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비층구름'이라고 한다. 추적추적 비내린다.

 

특징 : 2~7km (0ft~10,000ft), 일반적인 강수(비, 눈)

어원 : Nimbo- (비를 뿌리는 구름)

우리말 : 비층구름, 비구름

 

③ 층적운 (Stratocumulus, Sc)

구름 입자는 물방울로 되어 있고, 구름 덩어리는 둥그스름할 때도 있고 편평할 때도 있다.

 

회색의 큰 덩어리가 돌려 있는 구름으로 담요처럼 둘둘 말리면서 헝클어진 모양을 하고 있다. 비가 온다고는 하지만 거의 대부분 비가 오지 않고, 그나마 온다하면 이슬비 수준으로 내린다.

흔히 지진운이라고 착각되는 구름 중 하나이다.

 

*지진운: 지진 일어나기 전에 나타나는 구름

 

특징 : 고도 약 500m, 구름 꼭대기 약 2km (0ft~8,000ft), 일반적인 강수(비, 눈)

우리말 : 층쌘구름, 두루마리 구름


 

◎ 수직운

① 적운 (Cumulus, Cu)

일상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구름이 적운이다. 희고 복슬복슬한 색깔과 질감을 가지고 있으며 충분히 사이즈가 큰 적운은 아랫부분이 어두컴컴한 회색빛을 보이기도 한다. 작을 때에는 솜사탕, 클 때는 탑처럼 생긴 모양이다.

입자는 대부분 물방으로 이루어져 있거나 눈송이가 포함되기도 하다. 만약 빙정이 포함될 경우, 적운이 적란운으로 변하기 쉽다. 대부분 여름철 지면이 가열되어 상승기류에 의해 생기게 된다.

 

특징 : 고도 약 500m ~ 2km (1,500ft~10,000ft), 짧은 소나기

순우리말 : 쌘구름

일반적인 말: 뭉게구름, 더미구름


② 적란운 (Cumulonimbus, Cb)

 

흔히 소나기 정도로 내리고, 심하면 집중호우가 내리게 된다. 장마철에 장마전선과 태풍에 자주 발생하고 여름에 강한 뜨거운 태양의 영향을 받아 생기는 경우도 있다.

적란운은 악천우임.. 한국에서는 드물지만 해외에서는 최악의 경우 토네이도까지 나타낼 수 있다.

 

*악천우: 몹시 나쁜 날씨(국어사전)

 

특징 : 2,000m~10,000m (6,500ft~35,000ft), 장대비(heavy rain), 천둥, 번개, 벼락과 돌풍, 폭설, 우박 등

순우리말 : 쌘비구름

일반적인 말 : 소나기구름, 뇌운(번개 동반해서)


3. 권층운과 고층운의 비교

 

@Encyber.com
권층운
고층운
  • 하늘 전체를 덮는 얇은 홑이불 모양
  • 너무 얇아 해와 달이 선명하게 보임
  • 구름을 형성하는 빙정들이 투과광선을 굴절시켜 무리(halo)를 만들기도 함
  • 자체가 너무 얇아 '무리'를 보고 나서야 그 존재를 알 수 있는 경우가 있음
  • 두껍게 나타날 때는 하늘이 눈부시게 흰 빛을 냄
  • 수백 ㎢에 걸친 광범위한 지역의 상공 전체를 덮기도 하는 회색 또는 청회색 구름
  • 얇은 부분에서 해나 달이 희미하게 보임
  • 회색 빛, 높이, 태양의 희미함, 무리의 존재 여부로(무리는 오직 권층운에서만) 권층운과 비교할 수 있음
  • 그림자 발생하지 않지만, 권층운은 보통 투명하기 때문에 지면 위 물체는 그림자를 형성함

출처

나무위키(https://namu.wiki/)

위키백과(https://en.wikipedia.org/wiki/Main_Page)


/ 함께 보기 좋은 글 /

 

[자연] 그거 알아? 우리가 아는 풀냄새는 사실 식물 피냄새다?(GLV vs 피톤치드)

최근 신비로운 사실을 알게 됨 우리가 바깥에서 맡는 상쾌한 풀 냄새가 식물의 피냄새이자 SOS 요청인 ...

blog.naver.com

 

 

[자연] 갈대와 억새의 차이점은?

갈대와 억새는 겉으로 보면 너무 비슷하게 생겨서 구분하기 쉽지 않음 그래서 어떻게 하면 구분할까? 하는 ...

blog.naver.com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