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댕댕이 백과] 삽살개(Sapsaree)에 대해 알아보기 (성격, 특징, 색상, 관리 등)

본문

728x90
반응형

출처: Pinterest

또 다른 한국의 토종개는 삽살개가 있다.

삽살개는 199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제 368호이다.

'귀신 쫓는개'로 잘 알려진 삽살개에 대해 알아보자!

원산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

역할: 수렵견 (사냥개)

FCI그룹: 포함되지 않음.

 

 

< 목차 >

1. 삽살개란?

2. 성격

3. 특징 (크기, 체중, 색상, 털빠짐 등)

4. 수명

5. 하루 운동량

6. 주요 질병

7. 집 지키기

 

 

1. 삽살개란(Sapsaree)?

삽사리(Sapsali), 방구(厖狗), 방견(尨犬), 사자개

삽살개(삽사리)의 이름은 순수한 우리말로

삽(揷) = 쫓는다, 들어내다

+

살(煞) = 귀신, 액운

‘귀신과 액운을 쫓는 개’ 라는 의미를 지닌다.

과거 나쁜 땅의 기운을 없애기 위해

우리의 조상들이 삽살개를 마당에서 많이 키웠다고 한다.

삽살개는 가사(歌詞), 민담, 그림 속에 자주 등장했다. 신라시대에는 주로 귀족사회에서 길러져 오다가 통일신라가 망하면서 일반 백성들이 키우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 (재)한국삽살개재단 홈페이지

 

동네마다 흔하던 삽살개는 일제 강점기인 1940년 이후 일본이 개를 전쟁에 필요한 가죽 공급원으로 삼아 많은 수를 죽임에 따라 그 수가 급격히 줄어 멸종의 위기에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1960년대 말, 경북대 고(故) 하성진 교수를 비롯한 그의 제자이자 같은 대학교수였던 탁연빈, 김화식 교수 등 30여 마리의 삽살개를 수집, 보존되기 시작했으며 최근에는 500여 마리로 늘었다. 1992년에는 삽살개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재)한국삽살개재단에 의하여 보호, 육성되고 있다.

(재)한국삽살개재단 홈페이지 <입양절차>

삽살개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분양받을 수 없지만 (재)한국삽살개재단 홈페이지 입양절차 통해 연구소를 방문하여 입양이 가능하다.

 

 

2. 성격

출처: Pinterest

  • 강한 인내심
  • 높은 사회성 (어린이들과 잘 지냄)
  • 높은 충성심
  • 매우 영리함
  • 용감함
  • 물을 좋아함
  • 점잖음
  • 느긋함
 

 

3. 특징 (크기, 체중, 색상, 털빠짐 등)

구글 이미지 검색, '삽살개 모색'

곱슬곱슬하게 내려온 긴 털과 머리털이 길어 눈이 가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얼굴이 마치 갈기 있는 수사자를 연상시킨다고 하여 예로부터

'사자개'로 불리기도 하였다.

  • 크기(중·대형견): (수컷) 55~63cm, (암컷) 52~60cm
  • 체중: (수컷) 22~30kg, (암컷) 20~29kg

구글 이미지 검색, '삽살개 모색'

  • 색상(모색):

① 청색 (= 청삽사리)

② 황색 (= 황삽사리)

③ 백색

④ 바둑색

크게 삽살개(삽사리)의 모색은 청삽사리와 황삽사리로 분류된다.

청삽사리는 어릴 때에는 짙은 검정이나 자라면서 환모과정을 거쳐 흰 털이 고루 섞이면서 흑청색 또는 흑회색이 되어간다. 황삽사리도 어릴 때의 짙은 황색이 다소 퇴색해지면서 담황색을 띠게 되는데, 이러한 청 · 황 삽사리는 그 색의 차이를 제외하면 다른 점이 거의 없다.

왼쪽:  장모  삽살개(출처: 국립생물자원관) / 오른쪽:  단모  삽살개 (출처: Nate 뉴스)
 
  • 털빠짐(장모, 단모): 심함 (직모, 반곱슬, 곱슬로 모질을 구분함)
  • 짖음: 적음
 

 

 

4. 수명

구글 이미지 검색, 'sapsali'

12 ~ 14년

 

 

5. 하루 운동량

구글 이미지 검색, 'Sapsali'

하루 2회, 1시간 이상

활동성이 많지 않아 천천히 하는 산책이나 교감 위주로 시간을 보낸다.

 

 

6. 주요 질병

구글 이미지 검색, '삽살개'

병에 잘 걸리지 않는다.

단, 귀가 덮여있어 관리해 주지 않으면 귓병이 나기 쉽다.

 

 

7. 집 지키기

출처: Pinterest

뛰어난 수준


출처


/ 한국 토종견 둘러보기 /

 

[댕댕이 백과] 동경견(Donggyeong Dog)에 대해 알아보기 (성격, 특징, 색상, 관리 등)

동경견은 한국의 토종개로 천연기념물 제 540호임. 사람을 매우 좋아하는 동경견 ~ 멸종 위기에 있음..ㅠ ...

blog.naver.com

 

 

[댕댕이 백과] 진돗개(Korean Jindo Dog)에 대해 알아보기 (성격, 특징, 색상, 관리 등)

진돗개는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 53호임. 그러나 모든 진돗개가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되는 것은 아님. 진...

blog.naver.com

 

 

[댕댕이 백과] 제주개(Jeju Dog)에 대해 알아보기 (성격, 특징, 색상, 관리 등)

우리나라 토종견인 제주개에 대해 알아보자! 원산지: 제주도 역할: 사역견, 사냥견, 파수견 (오소리, 꿩, ...

blog.naver.com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