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장애의 유형에 들어가기 전에
불안의 의미에 대해 명확하게 짚고 넘어가자.
정상적인 불안 vs 병적인 불안
불안은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흔히 경험하는 불쾌한 감정이다.
불안에는 정상적인 불안과 병적인 불안이 있다.
정상적인 불안
: 정상적인 불안은 위험한 상황에서 불안을 느끼는 자연스럽고 적응적인 심리적인 반응이다.
그렇다면 병적인 불안은 무엇인가?
병적인 불안
병적인 불안은
첫째, 현실적인 위험이 없는 상황이나 대상에 대해서 불안을 느끼는 것이다.
둘째, 불안을 느끼게 한 위협적인 요인이 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불안이 과도하게 지속이 된다.
따라서 불안장애란 과도한 심리적 고통을 느끼거나 현실적인 적응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는 경우를 말한다.
< 목차 >
■ 불안장애의 하위유형과 핵심증상
1. 범불안장애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2. 특정 공포증 (Specific Phobia)
3. 광장공포증 (Agoraphobia)
4. 사회공포증 (Social Phobia) = 사회불안장애 (Social Anxiety Disorder)
5. 공황장애 (Panic Disoder)
6. 분리불안장애 (Separation Antiety Disoder)
7. 선택적 무언증 (Selective Mutism)
* 각 목차별 원인과 치료에 대한 설명이 있다.
■ 불안장애의 하위유형과 핵심증상
- 불안장애는 크게 7가지로 구분 짓는다. 각 장애에 따른 핵심증상은 아래의 표에 요약했다.
하위장애
|
핵심증상
|
① 범불안장애
|
- 미래에 발생할지 모르는 다양한 위험에 대한 과도한 불안과 걱정
|
② 특정공포증
|
- 특정한 대상(ex.뱀, 개, 거미)이나 상황(ex. 높은 곳, 폭풍)에 대한 공포
|
③ 광장공포증
|
- 다양한 장소에 대한 공포(ex. 쇼핑센터, 극장, 운동장, 엘리베이터, 지하철)
|
④ 사회불안장애
|
- 다른 사람으로부터 평가받는 사회적 상황에 대한 과도한 불안과 공포(ex. 발표)
|
⑤ 분리불안장애
|
- 중요한 애착 대상과 떨어지는 것에 대한 불안
|
⑥ 선택적 무언증
|
- 특수한 사회적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말을 하지 않는 상황
|
⑦ 공황장애
|
- 갑작스레 엄습하는 죽을 것 같은 강렬한 공포와 불안
|
1. 범불안장애 (Generalized Anxiety Disorder:GAD)
- 다양한 상황에서 만성적 불안과 과도한 걱정을 나타내는 경우
- 늘 불안하고 초조해하며 사소한 일에도 잘 놀라고 긴장함
- 항상 예민한상태에 있으며 짜증과 화를 잘 내고 쉽게 피로감을 느낌
- 지속적인 긴장으로 인한 근육통과 더불어 만성적 피로감, 두통, 수면장애, 소화불량, 과민성 대장 증후군 등의 증상이 함께 나타남
[ 예시 ]
- 20대 학생인 P씨는 항상 불안하고 초조하다. 무언가 불길한 일이 벌어질 것 같은 불안감에 자주 휩싸이며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일에 대한 걱정이 많다.
- 예를 들면, 가족들이 병들어 아프거나 사고를 당하지 않을까, 아빠가 직장에서 실직하지 않을까, 엄마가 직장에서 화를 당하지 않을까, 친한 친구가 자격증 시험 시간에 잘 도착했을지, 주변 사람들이 자신을 싫어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을 비롯하여
- 사소하게는 자신이 작성한 보고서가 교수님 마음에 안 들면 어떡하나, 물건을 비싸게 사면 어떡하나 등등 일상생활에 대해서 크고 작은 걱정이 많다.
- P씨는 이러한 걱정이 지나친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지만 막연한 불안감에 걱정을 멈출 수가 없다. 그래서 늘 초조하고 안절부절 못하며 긴장상태에 있게 되어, 특별히 힘든 일을 하지 않아도 저녁시간이 되면 몹시 피곤하다.
|
1) 범불안장애 DSM-5의 진단 기준
A. 다양한 사건이나 활동(예: 직업, 학업 수행)에 대한 과도한 불안과 걱정이 나타난다. 이러한 불안과 걱정이 적어도 6개월 동안 50%이상의 날에 나타나야 한다.
B. 개인은 이러한 걱정을 통제하기 어렵다고 느낀다.
C. 불안과 걱정은 다음의 6개 증상 중 3개 이상과 관련된다 (아동의 경우는 1개 이상).
(1) 안절부절 못함 또는 가장자리에 선 듯한 아슬아슬한 느낌
(2) 쉽게 피로해짐
(3) 주의집중의 곤란이나 정신이 멍해지는 느낌
(4) 화를 잘 냄
(5) 근육의 긴장
(6) 수면 장해(수면의 시작과 지속의 곤란 또는 초조하거나 불만족스러운 수면)
D. 불안, 걱정, 또는 신체적 증상이 심각한 고통을 유발하거나 사회적, 직업적 또는 중요한 영역의 활동에 현저한 손상을 초래한다.
E. 이러한 장해는 물질(예: 남용하는 약물, 치료약물)이나 다른 의학적 상태(예: 부신피질호르몬 과다증)의 생리적 효과에 기인한 것이 아니다.
F. 이러한 장애는 다른 정신장애에 의해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 예컨데, 다음과 같은 것에 대한 불안이 아니어야 한다. ▶ 공황장애에서 공황발작이 일어나는 것에 대한 불안이나 걱정, 사회불안장애에서 부정적 평가, 강박장애에서 오염 또는 다른 강박사고, 분리불안장애에서 애착 대상과의 이별,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서 외상사건 회상 촉발자극, 신경성 식욕부진증에서 체중 증가, 신체증상장애에서 신체적 호소, 신체변형장애에서 지각된 외모결함, 질병불안장애에서 심각한 질병 또는 정신분열증이나 망상장애에서 망상적 신념의 내용).
|
2) 원인과 치료
(1) 원인
- 부동불안(free-floating anwiety)이 핵심적 증상이라고 본다.
- 불안한 사람이 이러한 인지적 특성을 나타내는 이유는 위험에 관한 인지도식(schema)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이다.
부동불안
|
- 무의식적으로 억압된 원초아의 충동이 강해져서 자아가 이를 통제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현상
|
인지도식
|
- 과거의 경험의 축적에 의해서 형성된 기억체계로서 특정한 환경적 자극에 선택적으로 주의를 할당하며 자극의 의미를 특정한 방향으로 해석하게 하게 함
① 위협적인 단서에 주의집중을 더 잘하는 인지적 편향성을 나타냄
② '만일 ~하면 어떡하지?(What if..?)' = 질문과 대답을 반복하는 연쇄적인 사고과정 → 부정적 결과 → 파국화(catastrophizing)
|
(2) 치료
①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약물
② '걱정사고 기록지'에 기록하는 인지행동적 치료방법 ★ ( 효과적인 치료 방법 )
③ 복식호흡, 긴장이완, 심상법, 명상 등 다양한 방법
2. 특정 공포증 (Specific Phobia)
1) 주요증상과 임상적 특징
- 공포증(Phobia): 어떤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강렬한 공포와 회피행동
- 범불안장애 보다 훨씬 심한 강도의 불안과 두려움을 경험함
-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한정된 공포와 회피행동을 나타냄
- 특정 공포증: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비합리적 두려움과 회피행동을 지속적으로 나타냄 (6개월 이상)
DSM-5에서의 특정공포증 네 가지 하위 유형
|
|
① 동물형 (animal type)
|
- 뱀, 개, 비둘기, 거미, 바퀴벌레 등과 같은 동물이나 곤충을 두려워하는 경우
|
② 자연환경형 (natural environment type)
|
- 천둥, 번개, 높은 장소, 물이 있는 강이나 바다 등과 같은 자연에 대한 공포
|
③ 혈액-주사-상처형 (blood-injection-injury type)
|
- 피를 보거나 주사를 맞거나 상처를 입는 등 신체적 상해나 고통의 두려움
|
④ 상황형 (situational type)
|
- 비행기, 엘리베이터, 폐쇄된 공간 등과 같은 상황을 두려워하고 피하는 경우
|
- 임상적 장면에서 찾아오는 성인들이 호소하는 공포증은
- 상황형 > 자연환경형 > 혈액-주사-상처형 > 동물형 순서로 흔함
- 한 가지 이상의 유형을 지니는 경우도 많음
2) 원인과 치료
(1) 원인
- 공포반응이 고전적 조건형성에 의해 학습될 수 있음을 보여줌 (ex. 왓슨과 레이노 - 어린 앨버트 실험)
- 조건형성뿐만 아니라 대리학습과 정보전이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음 (Rachman, 1977)
(2) 치료
- 긴장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약한 공포자극 부터 시작하여 점차 강한 공포자극에 노출 시키는 방법
3. 광장공포증 (Agoraphobia)
1) 주요증상과 임상적 특징
- 특정한 장소나 상황에 대한 공포를 나타내는 경우를 말함
- 갑작스레 강렬한 불안이 엄습하는 공황발작(ex. 어지로움, 흉부통증, 질식, 토, 미칠 것 같음 등)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흔함 (상황회피)
- 청소년기 후기 or 성인기 초기 발병률 높음 (남성 < 여성이 2~4배 정도 흔하게 나타남)
- 어린아이가 어머니와 이별할 때 나타나는 분리불안과 관련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함(정신분석 이론가들) → 성장 후 재현됨
- 인지행동적 입장 → 공포에 대한 공포이론 (fear of fear theary)
- DSM-5에 따르면, 아래의 표에 제시된 다섯 가지 상황 중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상황에 대한 현저한 공포와 불안을 나타남
→ 6개월 이상, 사회적·직업적 활동에 방해 받을 경우 광장공포증으로 진단됨
DSM-5의 다섯 가지 상황 ( 상황: 2가지 이상 / 기간: 6개월 이상 / 사회적·직업적 활동에 방해 받을 경우
|
|
(1) 대중교통수단 (예시: 자동차, 버스, 기타, 배, 비행기)
|
|
(2) 개방된 공간 (예시: 주차장, 시장, 다리)
|
|
(3) 폐쇄된 공간 (예시: 쇼핑몰, 극장, 영화관)
|
|
(4) 줄을 서 있거나 군중 속에 있는 것
|
|
(5) 집 밖에서 혼자 있는것
|
▶ 또한 이러한 상황을 두려워하거나 회피하는 이유가 공황과 유사한 증상이나 무기력하고 당혹스러움
2) 치료
- 인지행동치료가 가장 효과적임
- 노출치료 (in vivo exposure)가 필수적 !!
① 불안을 느끼는 상황에 점진적으로 노출
② 공포유발 상황에 대한 위계 작성 후 노출
③ 항우울제 사용 (약물치료)
4. 사회공포증(Social Phobia) = 사회불안장애(Social Anxiety Disorder)
1) 주요증상과 임상적 특징
- 사회공포증(사회불안장애):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상황을 두려워 하여 회피하는 장애
- 기간: 6개월 이상 지속 지속되어 심한 고통을 경험 or 사회적·직업적 활동에 현저한 방해 초래될 경우
- 사회 불안이나 수줍음은 대학생의 약 40%가 지닌다고 보고될 정도로 매우 흔한 심리적 문제임
- 사회적 상황에 노출되면 거의 예외 없이 심한 불안을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함
- 다른 불안장애에 비해 유병률이 높은 장애
- 다른 불안장애와 함께 수반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치료기관을 찾지 않고 사회적 관계를 피해가며 살아가는 경우 많음
DSM-5 사회공포증(사회불안장애)진단기준 (6개월 이상 지속 / 심한 고통을 경험 or 사회적·직업적 활동에 현저한 방해 초래
|
|
1. 개인이 다른 사람들에 의해 관찰되고 평가될 수 있는 한 가지 이상의 사회적 상황에서 현저한 공포나 불안을 지님
① 일상적인 상호작용 상황 (예시: 다른 사람과 대화하거나 낯선 사람과 만남을 가지는 일)
② 관찰 당하는 상황 (예시: 다른 사람이 보는 앞에서 음료를 마시거나 음식을 먹는 일)
③ 다른 사람 앞에서 수행을 하는 상황 (예시: 연설, 발표)
|
|
2. 다른 사람들로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는 행동을 하거나 불안증상을 나타내게 될 것을 두려함
|
2) 원인과 치료
(1) 원인
- 친척 중에서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유전적인 요인과 관련되어 있음
- 자율신경계 활동이 불안정하여 다양한 자극에 쉽게 흥분하는 경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줍음, 사회적 불편감, 사회적 위축과 회피, 낯선 사람에 대한 두려움과 같은 기질적 특성을 지니는 경향이 있음 (Bruch, 1989; Plomin & Daniels, 1986)
* 인지적 입장의 연구자 - 특성 (=인지이론)
① 자기와 관련된 부정적 신념 - 다른 사람에게 호감을 주지 못하는 사람이라는 뿌리 깊은 믿음
② 사회적 수행에 대한 과도한 기준의 신념 -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주어야 함
③ 사회적 평가에 대한 조건적 신념 - 자신이 사소한 실수라도 하면 자신을 싫어하고 멀리할거라는 믿음
|
(2) 치료
① 인지행동적 집단치료가 가장 효과적임
② 약물 치료(항우울제,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 불안완화에 효과적)
5. 공황장애 (Panic Disorder)
1) 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
- 갑자기 엄습하는 강렬한 불안, 공황발작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장애
■ 공황발작 (Panic attack)이란?
-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갑작스레 밀려드는 극심한 공포
- 곧 죽지 않을까 하는 강렬한 불안을 의미함
|
DSM-5에 따른 공황장애 진단 기준
|
|
A. 반복적으로 예상하지 못한 공황발작이 있다. 다음 중 4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타나야 한다.
1. 심계항진, 가슴 두근거림 또는 심장 박동 수 증가
2. 발한
3. 몸이 떨리거나 후들거림
4. 숨 가쁘거나 답답한 느낌
5. 질식할 것 같은 느낌
6. 가슴 답답하고 불쾌감
7. 구토감과 속 불편함
8. 현기증, 멍한 느낌, 쓰러질 것 같은 느낌
9. 춥고 화끈거림
10. 감각 이상(둔함, 따끔)
11. 비현실감 또는 이인증
12. 이러다 미칠 것 같다는 두려움
13. 죽음에 대한 극심한 공포감
B. 적어도 1회 이상 발작 이후 1개월 이상 다음 중 한 가지 이상 조건을 만족해야한다.
1. 추가적인 공황발작이나 그에 대한 결과에 대한 지속적인 걱정(예: 통제를 잃음, 심장발작, 미칠 것 같음)
2. 발작과 관련된 행동으로 현저하게 부적응적인 변화가 일어남(예: 공황발작을 피하기 위해 운동이나 익숙하지 않은 환경을 피하기 등)
C. 장애는 물질의 생리적 효과(예: 약물남용) 또는 다른 의학적 상태(예: 심폐질환)가 아니어야 한다.
D. 다른 정신장애로 잘 설명되지 않는다(예: 사회불안장애, 특정공포증,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등)
|
▶ 이러한 증상은 갑작스럽게 나타나며 10분 이내에 그 증상이 최고조에 도달하여 극심한 공포를 야기함
- 흔히 첫 공황발작은 피곤, 흥분, 성행위, 정서적 충격 등을 경험한 후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예측하기 어렵고 갑작스레 나타남
- 예기불안(anticipatory anxiety)을 가짐
*예기불안: 공황발작이 없는 시기에도 그런 일이 또 생기지 않을까 하는 걱정
- 공황장애 환자 중 30~50%가 광장공포증을 동반함
- 만성화되는 경향 있음
2) 원인과 치료
(1) 원인
① 생물학적 원인 - 질식경보이론 (도특한 생화학적 기제에 의해 유발, suffocation false alarm theory)
② 파국적 오해석 (catastrophic misinterpretation)
(2) 치료
① 항불안제 - 벤조디아제핀 계열
② 항우울제 -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③ 인지행동치료 (매우 효과적)
④ 공황통제치료 (panic control treatment)
6. 분리불안장애 (Separation Anxiety Disorder)
1) 주요증상과 임상적 특징
[ 다음 8가지 증상 중 3개 이상 6개월 이상 나타날때 ]
① 주요 애착대상이나 집을 떠나야 할 때마다 심한 불안과 고통을 느낌
② 주요 애착 대상을 잃거나 그들에게 질병, 부상, 재난 혹은 사망과 같은 해로운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지속적으로 과도한 걱정함
③ 애착 대상과 분리될 수 있는 사건들에 대해 과도하게 걱정함
④ 분리에 대한 불안 때문에 밖을 나가거나, 집을 떠나거나, 학교나 직장 등에 가는 것을 자속적으로 꺼리거나 거부함
⑤ 혼자 있게 되거나 주요 애착 대상 없이 집이나 다른 장소에 있는 것에 대해 지속적으로 과도한 공포를 느끼거나 꺼림
⑥ 집을 떠나 잠을 자는 것을 지속적으로 꺼리거나 거부함
⑦ 분리의 주제를 포함하는 반복적인 악몽을 꿈
⑧ 주요 애착 대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가 예상될 때 반복적인 신체 증상(예시: 두통, 복통, 메스꺼움, 구토 등)을 호소함
|
2) 원인과 치료
(1) 원인
- 아동의 유전적 기질, 부모의 양육행동, 아동의 인지행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함
(2) 치료
- 행동치료, 인지행동치료, 놀이치료 등을 통해 호전됨
① 체계적 둔감법
② 감정적 심상기법
③ 모델링
④ 행동강화법
7. 선택적 무언증 (Selective Mutism)
1) 주요증상과 임상적 특징
- 말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말을 하지 않는 장애
- 주로 아동에게서 나타남 ( 보통 5세 이전 발병 / 여아에게 더 흔하게 나타남 / 몇 달 ~ 몇년 계속됨)
- 가까운 직계가족과 함께 있을 때만 말하고, 조부모나 사촌과 같은 친인척이나 친구들 앞에서 말을 하지 않음
2) 원인과 치료
(1) 원인
- 선천적으로 불안에 민감한 기질을 지니고 있으며 어린 시절부터 심한 수줍음을 나타냄
- 애착대상과 분리불안이며 어머니와 분리되었을 때 무언증 나타난다는 주장도 있음
- 선택적 무언증을 지닌 아동 20~30%가 말더듬을 비롯한 언어장애를 지닌 것으로 보고됨 → 사회적 상황에서의 불안 증폭
(2) 치료
- 행동치료, 놀이치료, 가족치료, 약물치료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