얄롬은 집단상담과 실존주의에 많은 영향을 준 학자이다.
얄롬에 대해서는 다음에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고, 오늘은 다양한 시험(예: 청소년상담사)에 많이 출제되는 얄롬의 치료적 요인 11가지를 쉽게 정리할 것이다.
*Yalom이 제시한 상호역동적인 치료집단을 위해 적절한 구성원의 수: 7~8명
1. 희망 심어주기(instillation of hope)
" 집단은 집단성원들에게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주는데, 이때 희망 그 자체가 치료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
*집단성원: 집단상담에 참여하는 사람
*집단상담자: 집단의 상담을 이끌어 가는 전문적 훈련을 받은 상담자
2. 보편성(universalty)
" 집단성원 자신만의 심각한 문제, 생각, 충동을 가진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자기와 비슷한 갈등과 생활 경험,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위로를 받는다. "
: 문제의 일반화
3. 정보전달(imparting information)
" 집단성원들은 집단상담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자신의 문제에 대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며, 동료 참여자에게서 직접적·간접적인 제안, 지도, 충고 등을 얻는다. "
4. 이타주의(altruism)
" 집단성원들은 위로, 지지, 제안 등을 통해 서로 도움을 주고 받는다. 자신도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고, 타인에게 중요할 수 있다는 발견은 자존감을 높여준다. "
5. 초기 가족의 교정적 재현(corrective recapitulation)
" 집단상담자는 부모, 집단성원은 형제자매가 되는 것이다. 집단성원은 부모형제들과 교류하면서 집단 내에서 상호작용을 재현하는데, 그 과정을 통해 그 동안 해결되지 못한 갈등상황에 대해 탐색하고 도전한다. 이는 집단이 가족과 유사한 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사회화 기술의 발달(development of socializing techniques)
" 집단성원으로부터의 피드백이나 특정 사회기술에 대한 학습을 통해 대인관계에 필요한 사회기술을 개발한다. "
7. 모방행동(imitative behaior) = 동일시
" 집단상담자와 집단성원은 새로운 행동을 배우는데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
8. 대인관계 학습(interpersonal learning)
" 집단성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대인관계에 대한 통찰과 자신이 원하는 관계형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가질 수 있으며, 대인관계 형성의 새로운 방식을 시험해 볼 수 있는 장이 된다. 즉, 자기역동을 발달시키게 된다."
9. 집단 응집력(group cohesiveness)
" 집단 내에 자신이 인정받고, 수용된다는 소속감은 그 자체로 집단성원의 긍정적인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
10. 정화(catharsis)
" 집단 내에 비교적 안전한 분위기 속에서 집단성원은 그 동안 억압되어온 감정을 자유롭게 발산할 수 있다. "
11. 실존적 요인들(existential factors)
" 집단성원과의 경험공유를 통해 자기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아무리 많은 지도와 후원을 받는다고 해도 죽을 수 밖에 없는 운명을 갖고 있다. 따라서 자신의 인생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은 스스로에게 있다는 것을 배운다. "
참고한 사이트
https://blog.naver.com/chomchom64/222379124459
[집단상담] 집단상담자의 역할과 기능 (0) | 2022.04.03 |
---|---|
[집단상담] 초보상담자와 숙련상담자 차이점 (0) | 2022.04.02 |
[집단상담] 집단상담 슈퍼비전의 개념 및 필요성 (0) | 2022.04.01 |
[집단상담] 비구조화 집단상담 유형 (0) | 2022.03.29 |
[집단상담] 정신분석 집단상담 이론 - 프로이트(Freud) (0) | 2022.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