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 연구팀 (돈 잭슨, 제이 헤일리, 줄스 위클랜드, 폴 바츨라위크 등)은
가족의 의사소통의 '내용'이 문제가 아닌 의사소통의 '과정'이 문제라고 보았다.
이에 MRI 연구팀의 의사소통 연구에서 발견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사이버네틱스의 피드백 고리(feedback loop)이다.
피드백 고리
|
가족이 피드백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면서 서로의 행동을 통제하거나 확장하는 것
|
정적 피드백
|
현재 상태를 벗어나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는 피드백
|
부적 피드백
|
변화에 저항하여 기존의 상태로 가족을 돌아오게 하는 피드백
|
오늘은 이러한 MRI의 상호작용 모델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 목차 >
1. 상담 목표
2. 상담과정
3. 상담 기법
1. 상담 목표
재구조화란?
가족들의 증상에 대해 과거에 이해하고, 해석하고 받아들이던 방식에서 벗어나 증상에 대해 새롭게 생각하고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
(일차적 변화: 증상 행동의 제거 / 이차적 변화: 증상 행동을 규제하는 가족체계의 변화)
2. 상담과정
1단계
|
상담 과정에 대한 소개
|
2단계
|
문제에 대한 질문과 정의
|
3단계
|
문제를 유지하는 행동 평가
|
4단계
|
치료 목표의 설정
|
5단계
|
행동적 개입의 선택과 실행
|
3. 상담 기법
(1) 역설적 개입(paradoxical intervention)
순종 기반 개입
(compliance-based interveintion) |
|
반항 기반 개입
(dafiance-based intervention) |
|
노출 기반 개입
(exposure-based intervention) |
|
(2) 증상 처방(symptom perscription)
|
참고문헌
정문자, 정혜정, 이선혜, 전영주 (2018). 가족치료의 이해(3판). 서울: 학지사.
한재희, 김영희, 김용태, 서진숙, 송정아, 신혜종, 양유성, 임윤희, … 최은영 외 2명 (2018). 부부 및 가족상담(2판). 서울: 학지사.
[가족상담] 전략적 가족상담 (1) - 이론적 배경, 개념, 상담 목표 및 과정
전략적 가족상담 모델은 ① MRI의 상호작용 모델 ② 밀란(Milan)의 체계적 모델 ③ 헤일리(Jay Haley...
blog.naver.com
[가족상담] 전략적 가족상담(3) - 밀란(Milan)의 체계적 모델
1971년 정신분석가 파라졸리를 포함한 보스콜로(Boscolo), 체친(Cecchin), 프라타(Prata) 등의 네 명은 ...
blog.naver.com
[가족상담] 전략적 가족상담(4) - 헤일리의 전략적 구조주의 모델
1967년에 헤일리는 MRI를 떠나 필라델피아 아동지도센터로 옮기고 구조적 가족치료자인 미누친(Minuchi...
blog.naver.com
[가족상담] 전략적 가족상담(4) - 헤일리의 전략적 구조주의 모델 (0) | 2022.10.11 |
---|---|
[가족상담] 전략적 가족상담(3) - 밀란(Milan)의 체계적 모델 (0) | 2022.08.02 |
[가족상담] 전략적 가족상담 (1) - 이론적 배경, 개념, 상담 목표 및 과정 (0) | 2022.07.31 |
[가족상담] 경험적 가족상담(Experiential Family Counseling) - 사티어, 휘태커 (0) | 2022.07.18 |
[가족상담] 가족치료 모델비교 표(다세대/경험/구조/전략/해결중심/이야기 치료) (0) | 2022.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