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Erickson)은 청소년기의 중요한 발달 과업을 '자아정체감'이라고 봄.
이때의 청소년은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 자신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에 대해 생각하고 고민하게됨. 이 단계의 심리적 위기를 극복하면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이 발달하고 그렇지 않으면 부정적인 정체감을 형성하게 됨.
*자아정체감? 자신의 성격, 취향, 가치관, 능력, 관심, 인간관, 세계관, 미래관 등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그러한 이해가 지속성과 통합성을 가지고 있는 상태(= 통합적 자아정체감)
이러한 관점에서 마르시아(Marcia, 1980)는 에릭슨의 이론을 발전시켜 정체성 지위(status of identity)를 ① 정체감 성취 ② 정체감 유예 ③ 정체감 유실(상실) ④ 정체감 혼란(혼미) 총 4가지로 구분함.
가장 바람직한 지위상태: ① 정체감 성취 ② 정체감 유예
Marcia의 정체성 지위 (4가지)
구체적인 특징
① 정체감 성취
② 정체감 유예
③ 정체감 유실(상실)
④ 정체감 혼미(혼란)
출처
[발달심리학]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 (1) | 2023.10.15 |
---|---|
[발달심리학] 유아기(2~6세) - 개념, 신체발달적 특징, 발달 놀이 (1) | 2023.10.13 |
[발달심리학]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 6단계 (0) | 2023.01.25 |
[성인발달] 베이런트(Vaillant)의 이론 - 방어기제 수준 (0) | 2023.01.15 |
[성인발달] 레빙거(Jane Loevinger)의 자아발달이론 (0) | 2023.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