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통계로 알아보는 '한국인 사망원인 TOP 10'

본문

728x90
반응형

 

카드뉴스로 알아보는 한국인 10대 사망원인

올해 발표된 내용은 없으나 제일 최신을 찾아보니 작년임. 2022년도 통계청에서 2021년도 사망 원인을 발표한 바가 있다. 2021년도 사망자 수는 31만 7680명으로 2020년보다 1만 2732명, 4.2% 증가하였다. 한국인의 10대 사망원인은 다음과 같다.

2021년도 한국인의 10대 사망원인은 1순위 암이 10만명당 161.1명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심장 질환 61.5명, 폐렴 44.4명, 뇌혈관 질환 44명, 자살 26명, 당뇨병 17.5명, 알츠하이머병 15.6명, 간 질환 13.9명, 패혈증 12.5명, 고혈압 질환 12.1명 순으로 높았다. 그중중 암, 심장 질환, 폐렴이 전체 사망의 43.1%를 차지할 정도로 높았다.

출처:  https://neurosciencenews.com/

즉, 우리나라 사람들이 사망하는 가장 큰 원인은 암이었으며 4명 중 1명은 암으로 목숨을 잃은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암은 지난 1983년 통계 집계 이래 부동의 사망 원인 1위를 이어오고 있다. 최근 젊은 연령층의 암 환자(20~30대)가 늘어나고 있으며 20~40대 절반 이상이 암 예방을 위해 특별한 노력을 하지 않는다는 조사 결과도 나타났다(헬스조선, 2016).

출처:  서산뉴스

이는 암 치료 기술이 발전하면서 전보다 쉽게 게 치료된다는 인식이 늘고 있다는 것으로 추측된다(헬스조선, 2016). 또한 암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원인은 유전적인 것보다 서구화된 식생활, 삶의 방식과 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환경오염, 암 치료 기술의 발전한 점 등 복합적인 요소들이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우리들내과의원, 2013; 헬스조선, 2016).

출처: Pinterest

암을 예방하는 방법은 우리 모두가 머리로 잘 알고 있다. 그건 바로 젊을 때부터 암에 대한 위기의식을 갖고 생활습관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다. 실제로 '국민 암 예방 수칙'에 따른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면 암 발생 위험이 무려 40%정도 낮아진다고 한다. 우리가 잘 알지만 잘 지켜지지 않는 예방 수칙은 다음과 같다.

 
◎ 국민 암 예방 수칙 (보건복지부 · 국립암센터)
- 담배를 피우지 않고, 남이 피우는 담배 연기도 피하기
- 채소와 과일을 충분하게 먹고, 다채로운 식단으로 균형 잡힌 식사하기
- 음식을 짜지 않게 먹고, 탄 음식을 먹지 않기
- 하루 한두 잔의 소량 음주도 피하기
- 주 5회 이상, 하루 30분 이상 땀이 날 정도로 걷거나 운동하기
- 자신의 체격에 맞는 건강 체중 유지하기
- 예방 접종 지침에 따라 B형간염과 자궁경부암 예방접종받기
- 성 매개 감염병에 걸리지 않도록 안전한 성생활 하기
- 발암성 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작업장에서 안전 보건 수칙 지키기
- 암 조기 검진 지침에 따라 검진을 빠짐없이 받기

그냥 금단, 절주 혹은 금주, 30분 운동하기, 영양분 골고루 적당히 섭취해서 비만예방하고 건강해지기 등등이 있다. 충분한 수면도 필요할듯(면연력, 회복, 스트레스 관리 차원에서)!

 

그 다음 성별에 따른 사망원인을 살펴보자.

2021년 남녀 사망원인으로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 심장 질환 > 폐렴, 뇌혈관 질환 > 고의적 자해(자살) > 간 질환 > 당뇨병 > 만성 하기도 질환 > 우수사고 > 패혈증 순으로 높았다.

 

여성의 경우,  > 심장질환 > 뇌혈관 질환 > 폐렴 > 알츠하이머병 > 당뇨병 > 자살 > 고혈압성 질환 > 패혈증 > 코로나19 순으로 높았다.

 

남녀 모두 악성신생물(암)이 1순위로 가장 높았고, 남성의 암은 여성의 사망률 보다 1.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하여 전녀 대비 남성은 동일하지만 여성은 사망원인에 처음으로 코로나19가 포함 되었으며 고의적 자해(자살)이 (8위 → 7위) 순위로 상승하는 현상이 있었다.

연령별로 5대 사망원인을 살펴보면 1~9세, 40~80세 이상이 암이 1순위였고 10~30대의 사망원인 1순위가 고의적 자해(자살)이었다.

 

[ 주요 사망원인 용어 설명 ]

 
사망 원인
용어설명
악성신생물(암)
정상세포 이외의 세포가 생체기능에 필요도 없이 증식하여 인접정상조직을 파괴하는 질병으로, 기계적, 내분비적, 화학적으로 장애를일으키며 원발부위에서 다른 부위로 전이해서 증식하는 능력을 가진질환군을 총칭함.
심장질환
인체의 혈액 공급을 담당하고 있는 심장과 관련된 질환으로 허혈성심장 질환, 심장성 부정맥, 심부전 등이 있음. ․


◎ 허혈성 심장 질환 : 대표적으로 협심증, 심근경색증이 있으며 관상동맥의 질병이 진행함에 따라 심근에 대한 혈액공급이 감소하거나중단되는 까닭에 발생하는 급성 또는 만성 심장장애를 일컬음. ․


◎ 기타 심장 질환 : 심내막염 및 심장 판막장애, 전도장애 및심장성 부정맥, 심부전 등이 있음.


◎ 심부전: 정맥계를 거쳐서심장에 되돌아오는 혈액을 심장이 충분히 구출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함.
폐렴
세균 및 바이러스 등에 의하여 세기관지 이하 부위의 폐조직에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질환임.
뇌혈관 질환
뇌혈관의 이상에 의해 갑자기 발생하여 뇌기능 장애를 일으켜쓰러지는 병으로써 발증 형태에 따라 두개내의 혈관 일부가 파손되어 출혈하는 출혈성 혈관 속의 혈액 흐름이 나빠지거나 막히기도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으로 구별됨.
고의적 자해(자살)
어떠한 수단과 방법으로 행위자가 자신의 죽음을 초래할 의도를 가지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행위를 말함.


예외상황(타살): 부모가 어린 자녀와 동반자살한 경우 어린 자녀는 자살이 아닌 타살에 해당함.
당뇨병
탄수화물을 산화하는 기능이 여러 가지 정도로 장애된 대사성 질환으로 보통 췌장 특히 랑게르한스섬의 활성저하와 그 결과 발생하는인슐린 기구의 장애로 인하여 발생함.
알츠하이머병
치매의 대표적 원인 질환으로 단백질들(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타우단백질)이 뇌 속에 쌓이면서 서서히 뇌 신경세포가 죽어나가는 퇴행성 신경질환임.
간질환
알코올성 간 질환, 간경화증 등이 있으며 간동맥의 폐색 때문에그 유역하의 조직에서 생기는 간장애를 말함. 원인은 바이러스 간염, 알코올성 간염, 중독성 간염에서 진전함.
패혈증
미생물에 감염되어 발열, 빠른 맥박, 호흡수 증가, 백혈구 수의 증가 또는 감소 등의 전신에 걸친 염증반응이 나타나는 상태임.
고혈압성 질환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140/95 이하를 정상, 160/95 이하를 고혈압이라고 하나 통상 150/90을 정상범위 상한으로 하고 그 이상을 고혈압이라고 함. (단위 mmHg) 세부적으로 본태성 고혈압, 고혈압성 심장병, 고혈압성 신장병, 이차성 고혈압 등으로 분류됨.

 

 

출처

통계청(2022.09.27.), '2021년 사망원인통계 결과보고서',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60200&bid=218&act=view&list_no=427216)

뉴시스(2022.09.27.), '한국인 사망 원인 1위, 40년째 '암' …작년 전체의 26%,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20927_0002027674#_PA)

휘경 우리들내과의원(2013.11.08.), '[기사바로읽기] 한국인의 암 발병률이 높은 이유', (http://cancer-strategy.com/844?cat=2)

 

/ 함께 보기 좋은 글 /

 

[시사금융용어] 경험생명표(experience life table)란?

경험생명표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여 작성되는 '국민생명표'와는 다르게, 보험개발원(모든 보...

blog.naver.com

 

 

[금융지식: 보험] 생명보험 vs 손해보험 차이점

내가 가입한 보험에 대해 스스로 잘 아는지? "아니요." 이유는? 보험설계사가 아는 사람이니깐 ...

blog.naver.com

 

 

[금융지식] 행복한 노후 생활을 위한 '연금 5층 구조'

연금의 종류에는 노령연금, 분할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등의 국민연금, 퇴직연금의 기업보장연금, 개인...

blog.naver.com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