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증상 및 관련장애(Somatic Symptom Related Disorder)는 심리적 원인으로 인하여 다양한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지만, 의학적 검사에는 신체적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신체증상 및 관련장애의 하위유형에는 ① 신체증상장애 ② 질병불안장애 ③ 전환장애 ④ 허위성 장애로 구분할 수 있다. 오늘은 마지막으로 허위성 장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 목차 >
■ 사례
1. 질병불안장애의 정의 및 특징
2. 주요 증상
3. 원인
4. 진단기준
5. 치료
참고문헌
50대/여성/가정주부
A씨는 어깨와 손목, 무릎 관절의 통증으로 지금까지 정형외과에서 13차례나 수술을 받았다. 하지만 그녀는 항상 수술 결과에 만족스러워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수술을 하고 나면 매번 다른 방식의 추가 수술을 요구하기 일쑤였다. 더욱이 그녀는 병원에서 시행한 검사 결과보다 더 심한 관절 통증을 반복적으로 호소하기도 했다. 자신의 증상을 과장해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내용 출처: 연합뉴스(2019)
동의어: 가성 장애, 뮈하우젠 증후군(Minchausen syndrome), 위병장애
허위성 장애(Factitious Disorder)는 의도적으로 신체적·심리적 증상을 만들어 위장하며 환자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말한다.
그렇다고 허위성 장애가 꾀병이 아니다. 꾀병(malingering)은 의도적으로 신체증상이나 심리증상을 거짓으로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허위성 장애와 유사하지만, 꾀병은 특정 목적(예: 공부하기 싫어서, 군면제 하기 위해, 처벌을 회피하기 위해, 경찰조사 피하기 위해, 보상금 취득하기 위해 등등)이 있는 반면에 허위성 장애는 외적 보상을 얻는 것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
2. 주요 증상
이러한 증상을 의사 앞에서 숨김. 의사가 안다해도 사실에 대해 부인함.
① 아동기 경험
② 성격특성
DSM-5에 따른 신체증상장애의 진단기준
|
① 본인 스스로 신체적이거나 또는 심리적인 증후와 증상을 허위로 조작하거나, 손상이나 질병을 만드는데 인느 속임수와 관련있음.
②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이 아프고, 상처 있고, 손상있음을 보여줌. ③ 이러한 속임수 행동이 분명한 외적인 보상이 없는데도 나타남. ④ 이러한 행동이 다른 정신장애(예: 망상장애, 다른 정신증적 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아야 함. |
참고문헌
권석만 (2019). 이상심리학의 기초. 서울: 학지사.
안창일 (2021). 사례로 보는 이상심리학(2판). 서울: 학지사.
연합뉴스(2019.04.17.), [명의에게 묻다] 허풍·거짓이 만들어내는 병 '뮌하우젠증후군', https://www.yna.co.kr/view/AKR20190416144600017
[이상심리학] 불면장애(Insomnia Disorder) / 수면-각성장애 1탄 (0) | 2024.08.05 |
---|---|
[이상심리학] 신체증상장애와 질병불안장애의 차이점 (0) | 2024.07.03 |
[이상심리학] 전환장애(Conversion Disorder) - 신체증상 및 관련장애(3탄) (0) | 2024.07.01 |
[이상심리학] 질병불안장애(Illeness Anxiety Disorder) - 신체증상 및 관련장애(2탄) (1) | 2024.06.19 |
[이상심리학] 신체증상장애(Somatic Symptom Disorder) - 신체증상 및 관련장애(1탄) (0) | 202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