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적 이해수준을 보기 전에 먼저 공감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 들어가자!
공감(empathy)이란 용어는 그리스어의 'empatheia'에서 유래함.
en(안) + pathos (고통 또는 열정) = 안으로 들어가서 고통을 느낀다.
|
공감은 독일의 미학자 Vischer가 독일어의 ‘Einfϋhlung’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면서 알려졌는데, ‘Einfϋhlen’은 ‘ein’(안에) 과 ‘fϋhlen’(느낀다)이라는 단어가 합쳐진 것으로 ‘들어가서 느낀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음(박성희, 2004).
다시 말해서, 공감이란 상대방이 하는 말과 표현을 상대방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생각과 느낌을 함께 느끼고 그것을 적절한 말과 행동으로 전달하는 것임(= 역지사지)
이러한 공감에 대해서 Carkhuff(1969)는 공감수준을 5단계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설명함.
이해수준
|
공감적 이해 반응
|
1
|
|
2
|
|
3
|
|
4
|
|
5
|
|
< 상황 >
자녀: 집이 너무 시끄러워서 집에서 공부를 못하겠어요!
|
1 수준 : "뭐가 시끄럽다고 그러냐. 공부하기 싫으니깐 핑계대네."
2 수준: "좀 시끄러워도 참고하면 되잖아."
3 수준: "그랬구나. 우리 집이 시끄러우니깐 공부하기 힘들지?"
4 수준: "네가 공부할 때 가족들이 조용히 하면 좋겠다는 말이지?"
5 수준 : 가족들이 좀 조용히 해주면 공부를 더 잘할 수 있을 것 같다는 말이지?
[행동주의 상담] 프리맥(Premack)의 원리란? (2) | 2023.10.18 |
---|---|
[상담심리학] 아들러(Adler)의 개인심리학적 상담 (0) | 2023.08.07 |
게슈탈트 기도문 (The Gestalt Prayer) (0) | 2023.04.04 |
[상담심리학] 벡(Beck)의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 Therapy: CBT) (0) | 2023.03.30 |
[상담심리학] 이야기 치료(narrative therapy) (0) | 2022.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