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형태(gestalt)주의 의미
- 형태주의는 '게슈탈트'(Gestalt)로도 불리며, 유기체가 환경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능동적으로 구조화하고 조직함으로써 형태를 구성한다고 봄
- 게슈탈트(Gestalt)는 전체, 형태, 모습에 대한 전체적인 지각현상을 의미
- 대상은 그 대상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적 요소들의 단순한 합 그 이상의 전체적인 관계 또는 형태로 지각
- 형태주의는 사람들이 지각할 때 대상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를 자신들의 인지구조로 재조직하고 재구성하여 지각한다고 봄
- 형태주의에서 대상에 대한 지각현상은 주관적이므로 사람들은 더 친숙한 대상을 먼저 지각
2. 지각적 조직(perceptual organization)
- 지각 대상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적 요소가 더 큰 단위, 전체 단위로 묶여져 의미 있는 대상으로 전환하는 지각현상
- 감각적 요소의 합을 단순히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요소 간의 배열관계에 따라 통합해서 지각
- 이 과정을 집단화(grouping)라 함
- 전경(figure)을 배경(ground)과 분리하고 나면, 우리는 집단화 원리들을 이용하여 전경을 의미있는 형태로 체제화
집단화(grouping)
|
|
근접성
|
공간상 가까운 자극 요소를 묶어서 하나의 의미 있는 형태로 지각하는 현상
|
유사성
|
모양, 크기, 색의 특징에서 유사한 자극끼리 한 집단을 이루어 하나의 의미 있는 형태로 지각되는 현상
|
대칭성
|
두 개의 선형이 대칭을 이루면 한 형태로 묶여 지각되는 현상
|
폐쇄성
|
선형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불안정한 도형을 완성된 형태로 지각하는 현상
|
연속성
|
단절되지 않은 방향으로 연결하여 지각하는 현상. 단절된 도형이 전체로서 조직화되기 때문에 연결된 그림으로 보임
|
3. 전경과 배경
- 감각대상 가운데 일부분만 지각할 때 지각의 대상이 되는 부분을 전경(figure)이라고 하고 지각 대상에서 제외된 부분은 배경(ground)
- 전경과 배경은 주의하는 순간에 결정, 주의가 주어진 대상은 전경이고 주어지지 않은 부분은 배경
- 일반적으로 대상에 대한 주의는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짐
-> 정리: 우리가 지각하는 대상은 전경, 지각하지 않는 대상은 배경.
4. 맥락효과
- 맥락효과는 감각대상을 관찰자의 심리 상태나 주변 상황과 맥락적 관계로 지각
- 동일한 대상도 주변 사태에 따라 다르게 지각됨
- 행동주의는 개인의 행동을 환경적 단서를 통해 분석하지만, 형태주의는 물리적 환경을 개인이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따라 행동이 달라진다고 봄
-뇌까지 전달된 객관적 현실은 주관적 현실로 바꾼다. 즉, 심리적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5. 통찰설
- 콜러(Kohler)는 문제의 상황이 제시되면 그 상황에 있는 모든 자극을 전체적으로 지각하여 자극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다고 설명
- 상황적 요소를 지각하여 자극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통찰(insight)를 통해 시행착오를 거치지 않고 한 번에 문제 해결
- 독일의 심리학자로 형태주의 학파의 대표적 인물임.
- 쾰러는 1913년에 카나리아 제도의 테네리페섬에서 6년간 머물며 행동주의 학습이론에서 말하는 자극-반응의 연합에 의한 학습을 거부하고, 침팬지의 문제 해결능력을 알아보는 실험을 통해 '통찰'(insight)학습을 연구했음.
1) Kohler(쾰러)의 실험
- 지능이 우수한 침팬지 술탄의 우리 속에 짧은 여러 개의 막대기를 놓음.
- 우리밖에는 긴 막대기와 과일이 있음. 처음에는 짧은 막대기로 과일 바구니를 가져오려고 했으나 실패하고 여러 노력을 했으나 실패.
- 침팬지는 한참 동안 우두커니 바라보더니 갑자기 짧은 막대기를 이용해 긴 막대기를 끌어온 뒤 그 긴 막대기를 이용해 과일 바구니를 당겨옴
- Kohler는 침팬지는 모든 상황을 파악하고 순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한 것이라고 설명.
인지적 시행착오는 통찰이 발생하기 전 마음으로 시행해 보는 정신적 시연
|
2) 통찰
- 통찰: 전체적인 상황 속에서 문제를 순간에 해결하는 것, 이와 같이 자극 간의 관계를 발견하는 능력이 통찰
- 통찰학습에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 상황에 있는 요소를 탐색하고 요소 간의 관계를 발견. Thorndike의 시행착오처럼 점진적이지 않고 순간적으로 일어남.
- 통찰이론에서 학습은 학습장면의 전체적인 형태를 구성하는 요소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능력
3) 통찰에 필요한 조건
- 통찰은 일상적인 문제 해결에 필요한 능력
- 통찰은 자극의 전체적인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 때 가능
- 통찰능력은 오랜 시간에 걸쳐 많은 문제를 다루고 해결하는 경험에서 나옴
- 통찰은 순간에 떠오르는 ‘아하’의 경험이지만 자극의 관계를 지각할 수 있는 지적 준비가 없으면 일어나지 않음
- 지식은 통찰을 가능하게 하며 통찰능력을 높임
- ★ 사전지식의 중요성
6) 통찰학습의 특징
① 통찰을 통한 문제 해결은 문제 상황에 배열된 요소를 전체적으로 지각하고 그 요소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가능
② 통찰을 통해 해결한 방법은 반복적으로 연습하지 않아도 오래 유지되고 쉽게 재연됨
(시행착오이론은 반복적인 행동시여이 이루어져야 그 행동이 유지, 강화)
③ 통찰은 어떤 특수한 상황에만 적용되는 문제 해결능력을 의미하지 않고, 문제 상황이 바뀌어도 그에 따라 새로운 관계를 지각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통찰과 문제 해결방법을 찾을 수 있음
[상담심리학] 펄스(Fritz Perls)의 게슈탈트 상담
#펄스생애 #게슈탈트인간관 #게슈탈트상담 #상담이론 #상담심리학 #게슈탈트상담기법 #뜨거운의자기법 #빈...
blog.naver.com
[학습심리학]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대해 간략하게 요약정리함 ■ 간접적 학습과 관찰학습(모델링, 사회학습이론)의 ...
blog.naver.com
[학습심리학] 파블로프(Pavlove)의 조건반사
파블로프(Pavlov)라고 하면 '파블로프의 개' 가 떠올릴 것이다. 그는 초기 연구에서 타액반사, ...
blog.naver.com
#교육심리학 #쾰러교육심리학 #쾰러침팬지실험 #쾰러통찰학습 #학습심리학 #학습이론 #통찰학습 #게슈탈트학습 #형태주의학습이론 #Kohler의실험 #Kohler #Kohler통찰학습 #침팬지실험 #바나나실험 #게슈탈트심리학자 #형태주의 #gestalt #게슈탈트 #통찰 #전경과배경 #지각적조직 #맥락효과 #통찰설
[학습심리학] 스키너(Skinner)의 조작 조건화(행동주의 학습이론) (3) | 2023.10.17 |
---|---|
[학습심리학] 손다이크(Thorondike)의 S-R 결합이론 (1) | 2023.10.16 |
[학습심리학] 파블로프(Pavlove)의 조건반사 (0) | 2022.01.23 |
[학습심리학] 학습의 역사 (0) | 2022.01.22 |
[학습심리학] 학습이란? (0) | 2022.01.21 |